왜 지금 ‘그룹웨어’가 다시 주목받는가

툴은 많아졌는데, 왜 업무는 더 느려지기만 하는 걸까?
🐳
3분만 투자하면 아래 내용을 알 수 있어요!
✔️ 그룹웨어의 개념부터 ERP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어요
✔️ 국내외 활용 사례를 확인해 보세요
✔️도입 전 HR과 경영진이 반드시 고려해야 할 포인트를 알아보세요

팬데믹 이후 원격/하이브리드 근무가 일상이 되면서, 조직들은 메신저, 일정, 결재, 파일 저장소 등 다양한 협업 도구를 도입했습니다. 그러나 기능이 분산될수록 업무 흐름은 단절되고, 데이터는 흩어지며, 의사결정 속도는 느려지는 부작용이 나타났습니다.

여기에 정책 환경 변화도 그룹웨어 재조명에 불을 붙이고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는 포괄임금제 폐지와 근로시간 관리 강화를 핵심 노동 공약으로 내세우며, 기업이 실제 근로시간을 정확히 기록·관리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연장/야간/휴일근로를 실제 근무시간 기준으로 산정 해야 하고, 근로시간 기록 시스템이 법적+관리적 필수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그룹웨어는 단순한 협업 플랫폼이 아니라, 근로시간 기록/연장근로 산정/결재 프로세스/보고 체계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통합 업무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즉, 업무 효율화뿐 아니라 법 준수와 리스크 관리까지 가능하게 해주는 핵심 툴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룹웨어란?
그룹웨어란?

이번 글에서는 그룹웨어의 개념부터 ERP와의 차이, 국내외 활용 사례, 그리고 도입 전 HR과 경영진이 반드시 고려해야 할 포인트까지 차근차근 짚어보겠습니다.


1. 그룹웨어란? 개념과 정의

1.1 그룹웨어의 정의

그룹웨어는 조직 구성원 간의 협업/정보 공유/업무 프로세스 관리를 위해 설계된 통합 소프트웨어입니다.

전자결재, 메일, 메신저, 일정관리, 문서관리, 업무 보고 등 하루 업무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업무와 사람, 정보를 한 곳에서 연결하는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룹웨어의 핵심 기능은?
그룹웨어의 핵심 기능은?

1.2 그룹웨어의 핵심 기능

  • 전자결재·문서 승인: 보고서, 기안, 결재선을 전자화하여 승인 속도를 높이고, 결재 이력과 문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원격 환경에서도 실시간 결재가 가능해 업무 효율성과 투명성이 강화됩니다.
  • 커뮤니케이션: 메일, 메신저, 게시판, 공지사항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합 제공하여 조직 내 원활한 소통을 지원합니다. 실시간 협업과 정보 공유가 가능해 부서 간 장벽을 낮추고 협업 속도를 높입니다.
  • 일정·자원 관리: 캘린더를 통해 개인 및 팀 일정을 손쉽게 관리하고, 회의실이나 차량 같은 공용 자원을 예약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일정과 연동하여 리소스 배분의 효율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자원 충돌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업무 보고·성과 관리: 주간 또는 월간 보고서 작성과 업무현황판을 통해 진행 상황을 투명하게 공유하고, KPI와 연동해 성과를 객관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는 팀/조직 단위의 목표 달성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파일/문서 중앙 관리: 부서 및 프로젝트별 문서 저장소를 제공해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버전 관리 및 권한 설정을 통해 보안성을 확보합니다. 검색 기능을 통해 필요한 문서를 빠르게 찾아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2. 그룹웨어와 ERP의 차이점

많은 기업이 그룹웨어와 ERP를 혼동하지만, 목적과 기능은 뚜렷하게 다릅니다.

구분 그룹웨어 ERP
주요 목적 협업·소통·업무 효율화 경영 자원의 통합 관리
주요 기능 전자결재, 보고서, 일정, 커뮤니케이션 회계, 인사, 재고, 구매, 생산
사용자 전 임직원 (업무 전반) 경영·관리 부서 중심
데이터 성격 진행 중인 업무·소통 데이터 재무·운영 데이터
도입 우선순위 조직 커뮤니케이션 개선 필요 시 자원·공정 관리 최적화 필요 시

즉, 그룹웨어는 ‘사람과 일’을 연결하는 협업 플랫폼이고, ERP는 ‘자원과 숫자’를 통합 관리하는 경영 툴입니다.

중견기업이나 대기업의 경우 두 시스템을 연동해, 결재/보고/자료 관리는 그룹웨어에서, 재무와 자원 관리는 ERP에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기도 합니다.


3. 그룹웨어 예시: 어떤 솔루션들이 있고 어떻게 활용되고 있을까?

3.1 해외 그룹웨어 활용 예시

솔루션 주요 장점
Salesforce • 강력한 CRM 기능과 방대한 에코시스템 (AppExchange 등) (omegacode.pl)
• Trailhead 교육 플랫폼을 통한 사용자 역량 강화 (Nigel Frank)
• 자체 AI 플랫폼 Agentforce 통한 자동화・생산성 향상 기대 (Reuters)
Microsoft Dynamics 365 • 마이크로소프트 제품군과 긴밀한 연동 (Office, Outlook 등) (Ascendix, Salesforce)
• ERP와 CRM 통합 관리 가능, 기업 전체 운영 시스템으로 활용 가능 (Ascendix)
Google Workspace • 실시간 협업에 강함 (Docs, Sheets 실시간 편집 기능) (Spin.AI, nextleveltech.com)
• 직관적 UI와 설치 없이 웹에서 즉시 사용 가능, 비용 효율적 시작 가능 (Spin.AI, nextleveltech.com)
Slack • 채널 기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에 최적화, 다양한 앱 연동 지원 (위키백과)
• 무료 플랜 제공, 초기 스타트업 운영에 적합 (위키백과)

3.2 국내 그룹웨어 활용 예시

솔루션 주요 특장점
CLAP (디웨일) • 모듈형 구성으로 조직 맞춤형 성과관리 가능 (목표·피드백·리뷰 등) (매일일보, welcome.clap.company)
• 엑셀·기존 그룹웨어 연동 및 커스터마이즈 지원, 도입 시간·비용 절감 (지디넷코리아)
• 자동 알림·리마인더로 리뷰 운영 효율화 (기간·단계 관리 자동화) (CLAP 블로그)
• KFC코리아 등 실사용 고객 사례, 도입 후 운영 리소스 대폭 절감 (CSTimes)
시프티 (Shiftee) • 다양한 근무 유형 및 제도에 맞춘 유연한 근태·휴가 관리 지원 (Shiftee, 테크뷰 블로그)
• PC-Off 기능 등 업무 환경 통제·집중 유도 기능 탑재, 보안 및 효율성 강화 (아티의 IT 연구소)
• 모바일·웹·데스크톱 모두 지원, 초기 도입 간편 (스타트업 생태계의 모든 것 \'플래텀(Platum)\')
• 다양한 연동 기능 제공 (캘린더, Slack 등) (모두의 HR)
FLEX (플렉스) •근태·급여·전자결재·채용·성과관리·채용관리까지 올인원 HR 플랫폼 제공 (테크뷰 블로그, Flex Team)
• "Service as a Software" 비전으로 AI 기반 인사이트 및 HR 컨설팅 통합 제공 (tl;dv)
• 다양한 모듈 추가 가능, 기업 맞춤형 구성 가능 (테크뷰 블로그, 모두의 HR)
네이버웍스 • 네이버 생태계와 자연스럽게 연동, 메신저·메일 기반 안정적 소통 기능 제공 (ulsan.picosoft.kr, 테크뷰 블로그)
• 영상/음성 통화, 파일 공유, 설문, AI 번역(파파고) 등 협업 기능 포함 (dokdokhoneytip.tistory.com)
• 익숙한 네이버 UI, 모바일·PC 연동성 우수 (dokdokhoneytip.tistory.com)

4. 그룹웨어 도입 시 고려해야 할 5가지

그룹웨어를 도입할 때는 단순히 ‘좋아 보이는 기능이 많은 툴’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우리 조직의 일하는 방식과 문화, 기술 환경에 맞춰 ‘업무 생산성을 실제로 높일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다음 다섯 가지는 특히 놓쳐서는 안 되는 핵심 포인트입니다.

그룹웨어 도입 시 고려해야할 점

첫째, 업무 프로세스 분석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현재 조직에서 어떤 업무 흐름과 도구를 사용하고 있는지, 각 부서별로 결재·보고·협업이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면밀히 파악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중복되는 기능, 불필요한 절차, 개선이 필요한 병목 지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그룹웨어가 실제로 해결해야 할 ‘문제 정의’를 먼저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 정의 없이 도입하면, 기존 불편함에 새로운 불편함만 더해질 수 있습니다.

둘째, 필수 기능과 부가 기능을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전자결재·메일·메신저·일정관리 등 ‘없으면 업무가 멈추는’ 기능을 우선 리스트업하고, 이후 문서관리·자원예약·성과관리 등 부가 기능을 검토합니다. 모든 기능을 한 번에 도입하려 하면 초기 혼란이 커지고, 실제 사용률도 떨어집니다. 필수 기능부터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고, 필요에 따라 모듈을 확장하는 단계적 접근이 효과적입니다.

셋째, 사용자 경험(UX)과 교육 계획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룹웨어는 전 직원이 매일 사용하는 시스템이므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짧은 학습 곡선이 필수입니다. 도입 이후 직원들이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 자료·가이드·FAQ를 준비하고, 초기에는 관리자나 슈퍼유저를 지정해 현장에서 즉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야 합니다. UI/UX가 불편하거나 교육 지원이 부족하면, 시스템이 있어도 메신저·이메일 같은 기존 방식으로 회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넷째, 확장성과 연동성을 반드시 검토해야 합니다.

그룹웨어가 단일 시스템으로만 동작하는지, 아니면 ERP, CRM, HR 솔루션, 회계 프로그램 등 기존 핵심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결재 승인 결과가 ERP 회계 모듈에 자동 반영되거나, 근태 기록이 HR 시스템에 실시간 전달된다면 업무 효율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특히 SaaS형 그룹웨어는 API·웹훅·SSO(싱글사인온) 지원 여부가 장기 활용성과 직결됩니다.

다섯째, 보안과 데이터 관리 정책을 점검해야 합니다.

그룹웨어에는 계약서, 인사정보, 재무자료 등 민감한 데이터가 집중되므로, 클라우드 보안 인증 여부, 데이터 암호화 방식, 백업 주기, 접근 권한 제어 기능을 꼼꼼히 살펴야 합니다. 해외 클라우드의 경우, 데이터가 저장되는 물리적 위치(국내/해외)와 관련 법규 준수 여부도 체크해야 합니다. 도입 후에도 정기적으로 권한 검토, 보안 점검, 로그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5가지 요소를 선행 검토하면, ‘기능이 좋아 보이는 툴’이 아니라 우리 조직의 일하는 방식에 맞고, 장기적으로 유지·확장 가능한 그룹웨어를 선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6. HR 관점에서 본 그룹웨어 도입의 의미

HR에게 그룹웨어 도입은 단순히 업무 효율화 도구를 추가하는 일이 아닙니다.

첫째, 업무 투명성을 높이는 기반이 됩니다.

결재·보고·근태·휴가·성과 관리가 모두 디지털 기록으로 남기 때문에, 말로만 오가는 지시나 비공식 보고가 줄어듭니다. 이는 공정성과 신뢰를 강화하고, 인사 의사결정의 근거를 명확하게 합니다.

둘째, 조직문화 변화를 촉진하는 촉매제 역할을 합니다.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하나로 통합하면 불필요한 회의와 중복 보고가 줄어들고, 부서 간 정보 장벽이 낮아집니다. 또한, 전자결재와 일정관리 같은 표준화된 절차가 정착되면, 업무 진행 방식이 개인 의존에서 조직 시스템 중심으로 전환됩니다.

셋째, 데이터 기반 HR 의사결정이 가능해집니다.

근태, 협업 빈도, 프로젝트 진행 속도, 승인 지연 현황 등 그룹웨어에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면, 조직의 생산성 현황과 병목 구간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데이터는 인력 배치, 교육 계획, 평가 제도 개선 같은 핵심 HR 정책을 설계하는 근거가 됩니다.


결국 그룹웨어는 HR이 조직을 더 투명하고 효율적이며 데이터 중심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디지털 인프라’입니다. 도입 이후에는 단순히 시스템을 유지하는 수준을 넘어, 그 안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와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적극 활용해 조직 성과와 직원 경험을 함께 높이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그룹웨어는 단순한 IT 도입이 아니라, 조직의 일하는 방식과 문화를 재설계하는 과정입니다. 도입 목적을 명확히 하고, 회사의 규모·업종·문화에 맞춘 설계를 한다면 ‘툴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업무 생산성·조직문화·의사결정 속도까지 바꾸는 혁신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은 HR과 경영진이 함께 ‘우리 조직에 가장 잘 맞는 그룹웨어’를 선택하고, 도입 이후의 변화 관리까지 설계해야 할 때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다른 기업은 어떻게 우리 조직에 맞는 성과관리 방식을 찾아서 활용하고 있는지 사례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혹시 노후화된 HR 시스템 또는 여러 개의 툴을 병행해서 성과관리를 진행하고 계신가요?

⇒ 기존 HR 시스템 대체 및 성과관리 운영 고도화 사례 보러가기

[ 클랩CLAP 더 알아보기 ]

You've successfully subscribed to CLAP 블로그
Great! Next, complete checkout to get full access to all premium content.
Error! Could not sign up. invalid link.
Welcome back! You've successfully signed in.
Error! Could not sign in. Please try again.
Success! Your account is fully activated, you now have access to all content.
Error! Stripe checkout failed.
Success! Your billing info is updated.
Error! Billing info update failed.
클랩레터 구독하기